경희한방민속박물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.
인사말 한의학관 한의학도서 구미역사관 민속관 기탁 및 기증
Untitled Document


Deprecated: preg_replace(): The /e modifier is deprecated, use preg_replace_callback instead in /home/webhome/web01/khmuseum.com/board/bbs/view.php on line 127
 
  XA047 방점이 찍힌 소학언해(小學諺解)
  
 작성자 : 최고관리자
작성일 : 2015-07-13     조회 : 2,400  


XA047

방점이 찍힌 소학언해(小學諺解)

 한글방점본으로 간행된 소학언해 <권3> 1책(缺)

◈ 크기(가로*세로) : 21 * 32 센티

◈ 상태 : 겉표지가 누락되었으며 몇장인지 알 수 없으나 본문 앞장이 많이 누락되어 총 16장으로 되어 있으며 일부 찢어지는 등 상태는 下

 

소학(小學) 경신(敬身) . 몸가짐에 관해(明威儀之則)

 

다른 사람의 은밀한 데를 엿보지 말고, 버릇없는 행동을 하지 말고, 남의 오래된 허물을 말하지 말고, 희롱하거나 업신여기는 듯한 표정을 지어서는 안 된다. 또 갑자기 오거나 갑자기 떠나서도 안 된다. ()을 모독해서는 안 되며, 잘못된 것을 그대로 따라가지 말며, 아직 닥치지 않은 일을 미리 판단하지 말고, 의복이나 이미 만들어진 물건들에 대해 험담해서는 안 되며, 의문의 여지가 있는 말을 자신이 나서서 바로 잡으려고 하지 말아야 한다.

-예기, 소의(禮記, 少儀)-

 

少儀曰, 不窺密, 不旁狎, 不道舊故, 不戱色, 毋拔來, 毋報往, 毋瀆神, 毋循枉, 毋測未至. 毋訾衣服成器, 毋身質言語.

소의왈, 불규밀, 불방압, 부도구고, 불희색, 무발래, 무보왕, 무독신, 무순왕, 무측미지, 무자의복성기, 무신질언어.

 

 

論語曰, 車中不內顧, 不疾言, 不親指.

논어왈, 거중불내고, 부질언, 불친지

 

공자는 수레 안에서 이리저리 둘러보지 않고 빨리 말하지 않으며 손가락질 하지 않았다.

-논어, 향당(論語, 鄕黨)-

 

 

曲禮曰, 凡視上於面則敖, 下於帶則憂, 傾則姦.

곡례왈, 범시상어면즉오, 하어대즉우, 경즉간.

 

대체로 시선이 남의 얼굴 위에 올라가 있으면 거만한 것이고, 허리띠 아래로 내려가 있으면 근심이 있는 것이며, 머리를 기울여 곁눈질하면 간사한 것이다.

-예기,곡례(禮記, 曲禮)-

 

[출처] http://cafe.naver.com/seniorsports/48

<참고>http://www.jangseogak.co.kr/ez/mall.php?cat=001001000&query=view&no=3447

최고관리자 (17-02-14 21:40)
 
   
 

경희한방민속박물관  대표 : 서정철  주소 : 경상북도 구미시 진평동 21-2번지 Tel. 054) 481-0500
Copyright ⓒ www.경희한방민속박물관.com All rights Reserved.
★ 본 사이트에 등재된 모든 이미지 및 자료에 대한 무단 복제 및 사용을 금합니다. ★